반응형

App/flutter 3

[Flutter] Gesture & Setting

Flutter Gesture 완벽 가이드: 제스처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까?Flutter에서 Gesture(제스처) 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UI와 상호작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. 이번 블로그에서는 Gesture란 무엇인지, 종류, 메서드와 옵션들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1. Gesture(제스처)란?Gesture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(탭, 스와이프, 드래그 등) 를 감지하여 UI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 Flutter는 GestureDetector 위젯을 통해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으며,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예를 들어, 버튼을 탭했을 때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, 스와이프하여 페이지를 넘기는 기능을 만들 수 있습니다.💡 Gestur..

App/flutter 2025.02.21

플러터 상태관리(statelessWidget, statefulWidget)

플러터에서는 주로 두 가지 유형의 위젯을 사용하는데 바로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이다. 이 두 유형의 위젯은 플러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해당 역할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1. StatelessWidget StatelessWidget은 상태가 없는 위젯입니다. 즉, 이 위젯은 생성될 때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UI를 구성하지만, 생명주기 동안 내부 상태가 변경되지 않습니다. StatelessWidget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: 불변성(Immutability): StatelessWidget은 한 번 생성되면 그 상태가 변경되지 않습니다. 이는 위젯이 변경할 수 있는 내부 상태를 가지지 않음을 의미합니다. 재사용성(Reusab..

App/flutter 2023.12.05

상태관리 : bloc 과 provider에 대해서

이제 막 나만의 앱을 만들기 위해 플러터에 대해 공부중이다. 나의 기본 포지션 자체가 백엔드이기 때문에 플러터를 공부하면서 화면을 보면서 개발을 하니 뭔가 진짜 찐 개발자가 된 것 같은 느낌이랄까...?ㅎㅎㅎㅎ 백엔드 개발자로서 보통 db설계 및 api 개발을 위주로 하다보니 클라이언트 쪽에서 api를 받고 뿌려주는 것에 대해서는 무지하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통해 클라이언트쪽도 열심히 공부하자는 마인드이다. 그런데 클라이언트 쪽에서는 상태관리 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, 이 상태관리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 예전에 리액트를 잠시 할때에도 setState 등의 개념이 있던걸로 얼핏 기억하는데, 플러터에서도 역시 상태관리 라는 개념이 있었기에 블로그로 기록하고자 한다. 1. BLoC BLoC는 이..

App/flutter 2023.11.29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