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strapi v4 에서는 기존의 where 대신 filters 로 대신한다.
또한, 기존의 strapi.query 대신 strapi.entityService('api::test.test').find 등으로 entityService 뒤에 메소드를 붙여서 사용한다.
findOne, findMany 등에서 where 절을 주고싶다면
findMany({filters:{id: , name:}}) 등으로 주면 된다.
밑에는 조건절로서, 같을경우, 클경우 등등 여러가지 조건에 대한 key 값이다.
$eq: 필드 값이 주어진 값과 정확히 일치합니다.
$ne: 필드 값이 주어진 값과 일치하지 않습니다.
$in: 필드 값이 주어진 배열 안에 포함됩니다.
$nin: 필드 값이 주어진 배열 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$gt: 필드 값이 주어진 값보다 큽니다.
$gte: 필드 값이 주어진 값보다 크거나 같습니다.
$lt: 필드 값이 주어진 값보다 작습니다.
$lte: 필드 값이 주어진 값보다 작거나 같습니다.
반응형
'백엔드 > Strap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laywright] mouse.click vs locator.click (0) | 2023.05.28 |
---|---|
[UI 테스팅 자동화] 테스팅 자동화 공통모듈 완성본 (0) | 2022.11.22 |
[UI 자동화 테스팅] 서브테스크 기능 개발 (0) | 2022.11.14 |
자동화 테스트 1차 완성 (0) | 2022.11.03 |
strapi.service VS strapi.entityService (0) | 2022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