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정보처리기사) 양방향 암호화 방식

STUFIT 2024. 7. 4. 16:25
반응형

양방향 암호화 방식은 두가지로 나누어서 분류할 수 있다.

1. 대칭키 / 비밀키 / 개인키

2. 비대칭키 / 공개키

 

먼저 특징을 본다면

1. 대칭키 / 비밀키 / 개인키 :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혹은 복호화를 한다. 또한 블록은 2 비트 이상 연산을 하며, 스트림은 1 비트씩 연산을 한다.

2. 비대칭키 / 공개키 : 암호화 키는 DB 사용자에게 공개, 복호화 키는 비밀키로 관리자만 사용

 

- 종류

1. 대칭키 / 비밀키 / 개인키 : DES, AES, SEEDm ARIA, RC4, LFSR 이 있다.

2. 비대칭키 / 공개키 : RSA, Diffe-Hellman, DSA, ECC 이 있다.

 

- 키 갯수

1. 대칭키 / 비밀키 / 개인키 : N(N-1)/2 개

2. 비대칭키 / 공개키 : 2N개

 

- 장점

1. 대칭키 / 비밀키 / 개인키 : 알고리즘이 단순하며, 암호/복호화 속도가 빠르다.

2. 비대칭키 / 공개키 : 키 분배가 용이. 관리해야할 키의 수가 적다.

 

- 단점

1. 대칭키 / 비밀키 / 개인키 : 관리해야할 키의 개수가 많다.

2. 비대칭키 / 공개키 : 알고리즘이 복잡하며 암호/복호화의 속도가 느리다.

 

여기서 DES, AES, RSA에 대해 설명하자면

1. DES : 미국 NBS에서 발표한 개인키 알고리즘으로서 블록 크기가 64비트이며 키 길이는 56비트이다.

2. AES :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 개인키 알고리즘으로서 블록크기는 128/192/256비트이다.

3. RSA : MIT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으로서 소인수분해가 어려운 큰 소수 숫자를 활용한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