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UML에 대한 요약

STUFIT 2024. 9. 11. 13:48
반응형

UML이란?

- 고객/개발자 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표준화한 대표적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이다.

- 구성요소는, 사물, 관계, 다이어그램 으로 구분된다.

- 인터페이스는 클래스/컴포넌트가 구현해야하는 오퍼레이션 세트를 정의하는 모델 요소를 말한다.

1) 사물 : 구조 / 행동 / 그룹 /주해 

2) 관계

2-1. 연관관계 : 2개 이상의 사물이 서로 관련됨

2-2. 집합관게 :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에 포함됨( 전체-부분 관계)

2-3. 포함 관계 : 집합 관계 내 한 사물의 변화가 다른 사물에게 영향

2-4 . 일반화 관계 : 한 사물이 다른 사물에 비해 일반/구체적인지 표현(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일 때)

2-5. 의존 관계 : 사물 간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관계(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기능을 할 때)

2-6. 실체화 관계 : 한 객체가 다른 객체에게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지정 / 서로를 그룹화할 수 있는 관계

 

3) 다이어그램

3-1. 구조/정적 다이어그램

1) 클래스 : 클래스 사이의 관계 및 속성을 표현

2) 객체 : 인스턴스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로 표현

3) 컴포넌트 : 구현 모델인 컴포넌트 간의 관계 표현

4) 배치 : 물리적 요소의 위치 / 구조 표현

5) 복합체 구조 : 클래스 및 컴포넌트의 복합체 내부 구조 표현

6) 패키지 : UML의 다양한 모델요소를 그룹화하여 묶음

 

3-2. 행위, 동적 다이어그램

1) 유스케이스 :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(사용자 관점) -> 사용자(Actor) + 사용 사례(Use Case)

2) 시퀀스 : 시스템/객체들이 주고받는 메세지 표현 -> 구성항목에는 액터, 객체, 생명선, 메세지, 제어 삼각형이 있다.

3) 커뮤니케이션 : 객체들이 주고받는 메세지와 객체 간의 연관관계까지 표현

4) 상태 : 다른 객체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표현

5) 활동 : 객체의 처리 로직 및 조건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순서에 따라 표현

6) 타이밍 : 객체 상태 변화와 시간 제약을 명시적으로 표현

7) 상호작용 개요 : 상호작용 다이어그램 간 제어 흐름 표현

반응형